가족 치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 치료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개선을 목표로 하는 정신 요법의 한 분야이다. 서구에서는 19세기 사회 사업 운동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아동지도 운동과 결혼 상담의 출현과 함께 발전했다. 1940~50년대에 다양한 학파가 등장했으며,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접근 방식이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에 처음 소개되어 유교적 전통과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발생하는 가족 문제를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족 치료는 일반 체계 이론, 사이버네틱스, 사회 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며, 구조적 치료, 전략적 치료, 시스템적 치료, 정신역동적 치료, 다세대 치료, 해결중심 치료, 이야기 치료 등 다양한 접근법과 순환 질문, 재구성, 역설적 기법, 가족 조각, 가계도 등의 기법을 활용한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한국가족상담협회의 가족상담사, 한국가족치료학회의 가족치료전문가가 있으며, 미국과 영국 등에서도 전문 교육과 면허 취득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지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 복지 -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는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상담과 복지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전문가로, 대한민국에서는 법적으로 자격이 규정되며,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인구 변화로 인해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 심리요법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관리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인식, 평가, 대처 과정을 포함하며, 다양한 스트레스 모델과 측정 방법, 그리고 여러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유형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개인 맞춤형 기법과 전문가의 도움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 심리요법 -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는 삶의 의미와 목적 상실에서 비롯되는 내적 갈등으로, 개인의 의미 추구와 무의미한 세상 사이의 모순으로 이해되며, 심리 치료뿐 아니라 조직의 존립 위협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해결 방안이 모색된다.
가족 치료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심리 치료 |
관련 질병 | 불안 장애 우울증 섭식 장애 정신 분열증 물질 사용 장애 |
개발자 | 머리 보웬 살바도르 미누친 버지니아 사티어 제이 헤일리 밀턴 에릭슨 |
전문 분야 | 커플 및 가족 치료 |
동의어 | 부부 및 가족 치료 결혼 및 가족 치료 |
특징 | |
목표 | 가족 내 역기능적 상호 작용 패턴을 식별하고 수정하여 가족 기능을 개선하는 것 |
방법 | 대화, 역할극, 과제 부여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 |
기간 | 단기 또는 장기 치료가 가능하며, 가족의 필요에 따라 결정됨 |
대상 | 가족 전체 또는 특정 가족 구성원 |
효과 | 가족 관계 개선, 의사 소통 증진, 문제 해결 능력 향상, 개인의 정신 건강 증진 |
역사 | |
기원 | 1950년대, 개인 심리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족 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발전 |
발전 | 다양한 이론과 기술이 개발되면서 여러 유형의 가족 치료가 등장 |
유형 | |
주요 유형 | 구조적 가족 치료 보웬 가족 시스템 이론 경험적 가족 치료 전략적 가족 치료 이야기 치료 |
기타 유형 | 기능적 가족 치료 다차원 가족 치료 간단 전략적 가족 치료 |
효과 | |
효과 |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개선 의사 소통 기술 향상 문제 해결 능력 강화 개인의 정신 건강 증진 가족 기능 회복 및 강화 |
추가 정보 | |
관련 학회 | 일반 사단법인 일본 가족 치료 학회 |
참고 문헌 | Szapocznik, José; Schwartz, Seth J.; Muir, Joan A.; Brown, C. Hendricks (2012년 6월). "Brief Strategic Family Therapy: An Intervention to Reduce Adolescent Risk Behavior". Couple and Family Psychology. 1 (2): 134–145. doi:10.1037/a0029002. ISSN 2160-4096. PMC 3737065. PMID 23936750. |
2. 역사와 이론적 구조
가족 치료는 20세기 중반, 서구 사회에서 일반 체계 이론, 사이버네틱스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기 시작했다. 정신 분석, 사회 정신 의학, 학습 이론, 행동 치료 등 다양한 이론들의 영향을 받았다.
1950년대 초, 미국 팔로 알토에서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그의 동료들이 사이버네틱스와 일반 시스템 이론 개념을 사회 심리학과 정신 요법에 도입하고, 의사 소통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면서 가족 치료가 크게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가족 치료가 도입되어 정신 건강 분야의 주요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 1. 서구권의 가족 치료 역사
서구 문화에서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서 가족 치료는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사회 사업 운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2] 정신 요법의 한 분야로서, 가족 치료는 20세기 초 아동지도 운동과 결혼 상담의 출현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다.[3]1940년대와 1950년대 초, 1942년 '미국 결혼 상담자 협회'(AAMFT의 전신)가 창립되고, 영국(태비스톡 클리닉의 존 볼비), 미국, 헝가리 등 여러 나라의 상담자들과 그룹들이 가족 구성원 전체를 상담 과정에 참여시키면서 가족 상담이 공식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2][4] 초기에는 정신 분석(초기 상담자들 대부분이 정신분석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과 사회 정신 의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후에는 학습 이론과 행동 치료의 영향도 받았다. 이들은 가족을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 이상으로 보고, 가족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하기 시작했다.[3]
1950년대 초, 미국의 팔로 알토에서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그의 동료들이 사이버네틱스와 일반 시스템 이론을 사회 심리학과 정신 요법에 도입하면서 가족 치료는 큰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특히 의사 소통의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베이트슨 프로젝트 참조).[5][6] 이 접근법은 개인의 심리나 과거 요인보다는 현재의 상호작용, 즉 '순환적 인과관계'와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피드백과 항상성 메커니즘, 그리고 문제를 지속시키거나 악화시키는 '규칙'을 강조했다.[5][6] 이들은 또한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최면 치료사였던 밀턴 H. 에릭슨의 연구, 특히 역설적 지시와 같은 변화 전략의 사용에 큰 영향을 받았다.[5]
베이트슨 프로젝트 구성원들은 가족 체계 내에서 징후와 증상의 "의미"와 "기능"에 주목하며, 정신 분열증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치료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 분석가였던 라이먼 윈과 시어도어 리즈는 정신 분열증 환자 가족의 의사 소통 일탈과 역할(예: 유사 상호성, 유사 적대감, 분열 및 편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체계-의사소통 중심의 이론가와 상담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3][7]
1960년대 중반에는 MRI 단기 치료, 전략적 치료, 살바도르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 치료, 밀라노 시스템 모델 등 가족 치료의 다양한 분파들이 등장했다.
1970년대 후반에는 임상 경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론적 통합 및 절충주의 경향이 나타났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다문화, 통합 접근 방식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발전했다.[9][10][11][12][13][14][15][16]
2. 2. 이론적 배경
가족 치료는 일반 체계 이론, 사이버네틱스, 사회 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1950년대 초, 미국의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그의 동료들은 사이버네틱스와 일반 시스템 이론의 개념을 사회 심리학과 정신 요법에 도입하여, 특히 의사 소통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5] 이 접근 방식은 개인 심리 및 과거 요인보다는 현재의 상호작용에 나타나는 피드백과 항상성 메커니즘, 그리고 이른바 순환적 인과관계와 과정에 주목했다.[5][6]- 일반 체계 이론: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 패턴에 주목한다. 가족 구성원에게 발생한 문제는 단일 원인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문제가 유지되는 원인과 결과의 악순환을 그린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문제를 겪는 가족 구성원을 '클라이언트' 대신, 가족을 대표하여 문제를 표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IP(Identified Patient; 환자로 간주된 사람)라고 부른다.
- 사이버네틱스: 의사 소통과 피드백 과정을 통해 가족 체계가 유지되고 변화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 사회 구성주의: 현실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본다.
1960년대 중반, 사이버네틱스와 시스템 이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그룹에서 MRI 단기 치료가 나왔고, 이후 전략적 치료, 살바도르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 치료와 밀라노 시스템 모델이 등장했다.
3. 주요 학파 및 접근법
가족 치료는 다양한 학파와 접근법으로 발전해 왔으며, 각 학파는 고유한 이론과 기법을 가지고 있다.[54][55][56][57] 주요 학파 및 접근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 모델 | 이론가 | 요약 | 기법 |
---|---|---|---|
아들러 가족 치료 | 알프레드 아들러 | 개인 심리학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인간을 전체로 보며, 열등감에 대한 보상, 가상적인 최종 목표를 향한 중요성 추구, 개인적인 논리 등을 중시한다. 출생 순위와 잘못된 목표는 가족 구성원 내에서 아동과 성인의 잘못된 동기를 검토하기 위해 탐구된다. | 정신분석, 전형적인 하루, 재지향, 재교육 |
애착 이론 | 존 볼비, 메리 에인스워스, 더글러스 홀데인 | 개인은 생애 처음 3년 동안 양육자와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 대상 관계 이론의 기초로 사용된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낯선 상황 실험은 부모의 유대감을 평가하기 위해 아이를 방에 혼자 두는 체계적인 과정을 포함한다. | 정신분석, 놀이 치료 |
보웬 가족 체계 치료 | 머레이 보웬, 베티 카터, 필립 게린, 마이클 커, 토마스 포가티, 모니카 맥골드릭, 에드윈 프리드먼, 다니엘 파페로 | 세대 간 가족 치료라고도 하며, 가족 구성원은 내부 및 외부 분화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이로 인해 불안, 삼각 관계, 감정적 단절이 발생한다. 가족은 핵가족의 감정적 과정, 형제자매의 위치 및 여러 세대에 걸친 전이 패턴의 영향을 받는다. | 삼각 관계 해체, 비불안적인 존재, 가계도, 코칭 |
인지 행동 가족 치료 | 존 고트만, 앨버트 엘리스, 앨버트 반두라 | 문제는 가족의 대인관계적 사회적 교환 내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소멸시키며 원치 않는 행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촉진하는 조작적 조건 형성의 결과이다. 이는 비합리적인 신념과 잘못된 가족 도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치료 계약, 모델링, 체계적 둔감법, 조형, 차트 작성, 비합리적 신념 검토 |
협력적 언어 시스템 치료 | 해리 굴리시안, 할렌 앤더슨, 톰 앤더슨, 린 호프만, 페기 펜 | 개인은 개인적 및 조직적 수준의 사회적 관계의 맥락 내에서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형성한다. 협력 치료사는 "모름" 입장을 취하여 내면의 생각을 투명하게 대화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이끌어내기 위해 가족이 인식된 문제를 재구성하고 해결하도록 돕는다. | 대화적 대화, 모름, 호기심, 공개, 팀 반성 |
맥락적 치료 | 이반 보스조르메니-나지 | 가족은 부모와 자녀 간의 암묵적 충성의 무의식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공정성, 신뢰, 자격, 상호성 및 가치와 같은 관계 윤리가 위반될 때 손상될 수 있다. | 재균형, 가족 협상, 유효성, 자녀의 빚 상환 |
문화 가족 치료 | 빈첸조 디 니콜라 | 체계 가족 치료와 문화 정신 의학을 통합하여 문화 가족 치료 (CFT)를 만들었다. CFT는 이야기와 도구의 상호 작용이다. | 문화 간 작업에 대한 개념적 도구, "이야기 복구"로서의 치료 |
정서 중심 치료 | 수 존슨, 레스 그린버그 | 부부와 가족은 감정적 참여와 신뢰를 방해하는 강력한 감정적 경험을 기반으로 경직된 상호 작용 패턴을 개발할 수 있다. 치료는 깊이 자리 잡은 습관을 탐구하고 감정적 단서를 수정하여 가족 구성원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반성, 유효성, 고조, 재구성, 재구조화 |
경험적 가족 치료 | 칼 휘태커, 데이비드 키스, 로라 로베르토, 월터 켐플러, 존 워켄틴, 토마스 말론, 어거스트 네이피어 | 게슈탈트를 기반으로 하며, 변화와 성장은 위선 없이 내담자와 의도적으로 진실된 치료사와의 실존적 만남을 통해 발생한다. | 싸움, 건설적인 불안, 증상 재정의, 정서적 대결, 공동 치료, 유머 |
가족 모드 비활성화 치료 (FMDT) | 잭 A. 앱셔 | 대상 인구는 품행 및 행동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이다. 스키마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 인지 행동 치료, 마음 챙김, 수용전념 치료, 변증법적 행동 치료 |
가족 기원 치료 | 제임스 프라모 | 그는 대상 관계 접근법을 세대 간 및 가족 기원 치료법으로 개발했다. | 여러 세대의 가족과 함께 작업 |
페미니스트 가족 치료 | 산드라 벰, 마리안 월터스 | 성별 간의 사회적, 정치적 불평등으로 인한 합병증은 가족 체계 내 갈등의 근본 원인으로 확인된다. 치료사는 이러한 영향력을 인식하도록 권장된다. | 해체, 모델링, 평등, 개인적 책임 |
MRI 단기 치료 | 그레고리 베이트슨, 밀턴 에릭슨, 하인츠 폰 푀르스터 | 정신 연구소(MRI)에서 가족이 "더 많은 것을 반복"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재구성, 증상 처방, 재명명, 억제 (느리게 진행), 벨락 속임수 |
이야기 치료 | 마이클 화이트, 데이비드 엡스톤 | 사람들은 이야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지역 지식을 기반으로 사회적, 정치적 구성을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야기 치료사는 "문제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 자체가 문제"라는 생각으로 내담자를 소외시키지 않는다. | 해체, 외현화 문제, 매핑, 허가 요청 |
대상 관계 치료 | 해잔 & 샤이버, 데이비드 샤르프 & 질 샤르프, 제임스 프라모 | 개인은 어린 시절의 불안정한 애착을 치유하려는 관계를 선택한다. 부모 (대상)에 의해 설정된 부정적 패턴이 파트너에게 투사된다. | 삼각 관계 해체, 공동 치료, 정신분석, 홀딩 환경 |
정신분석 가족 치료 | 네이선 아커먼 |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전략을 가족 체계에 적용함으로써 치료사는 가족 구성원의 연관된 정신 병리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상호 보완성을 개선할 수 있다. | 정신분석, 진정성, 참여, 대결 |
해결 중심 치료 | 김인수, 스티브 드 셰이저, 윌리엄 오핸론, 미셸 와이너-데이비스, 폴 와츠라윅 | 끊임없는 변화의 불가피한 시작은 과거에 대한 부정적인 해석과 개인의 상황의 의미를 형성하는 언어로 이어져 희망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간과하게 만든다. | 미래 지향, 초심자의 마음, 기적 질문, 목표 설정, 척도 |
전략적 치료 | 제이 할리, 클로 마데네스 | 기능 장애의 증상은 가족 생활 주기의 다양한 단계를 거치면서 가족 계층 구조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지시, 역설적 명령, 포지셔닝, 은유적 과제, 억제 (느리게 진행) |
구조적 가족 치료 | 살바도르 미누친, 해리 아폰테, 찰스 피시만, 브라울리오 몬탈보 | 가족 문제는 상호 작용을 지배하는 규칙과 의식의 전반적인 가족 체계 내에서 생성된 부적응 경계와 하위 시스템에서 비롯된다. | 참여, 가족 매핑, 가설 설정, 재연, 재구성, 불균형 |
의사소통 접근법 | 버지니아 사티어, 존 반멘, 제인 게르버, 마리아 고모리 | 모든 사람은 자신과 부모 사이의 1차 생존 삼위일체로 태어나 가족 구성원의 말과 행동으로 전달되는 위협으로부터 자존감을 보호하기 위해 생존 자세를 취한다. | 평등, 의사소통 모델링, 가족 생활 연대기, 가족 조각, 은유, 가족 재구성 |
밀라노 체계 가족 치료 | 루이지 보스콜로, 지안프란코 체친, 마라 셀비니 팔라졸리, 줄리아나 프라타 |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사이버네틱스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 기술을 확립하려는 밀라노 그룹의 실질적인 시도로, 가족 구성원 간의 보이지 않는 통제 및 게임 패턴을 깨뜨린다. | 가설 설정, 순환 질문, 중립성, 역설 |
3. 1. 의사소통적 가족 치료 / MRI 그룹 / 팔로알토 그룹
버지니아 사티어를 비롯한 여러 심리학자들이 의사소통적 가족 치료를 발전시켰다. 이 치료법은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패턴에 초점을 맞추고,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54][55][56][57]의사소통적 가족 치료에서 모든 사람은 자신과 부모 사이의 1차 생존 삼위일체로 태어나며, 가족 구성원의 말과 행동으로 전달되는 위협으로부터 자존감을 보호하기 위해 생존 자세를 취한다고 본다. 치료 목표는 각 개인의 고유한 자존감을 증진하기 위해 가족 구성원 간의 명시적 및 은밀한 메시지를 변경하는 것이다.
주요 인물
- 버지니아 사티어
- 돈 잭슨
- 리처드 피시
- 폴 와츨라빅
- 존 위크랜드
정신 연구소(MRI) 그룹 / 팔로알토 그룹의사소통적 가족 치료는 정신 연구소(MRI) 그룹 또는 팔로알토 그룹이라고도 불린다. 이 그룹은 그레고리 베이트슨, 밀턴 에릭슨, 하인츠 폰 푀르스터 등 여러 이론가의 아이디어를 통합하여 가족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MRI 그룹은 가족이 "더 많은 것을 반복"하고, 불분명한 메타커뮤니케이션에서 혼합된 신호를 보내고, 역설적인 이중 구속 메시지를 지속함으로써 1차 및 2차 변화를 만들려는 잘못된 시도를 중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3. 2. 전략적 가족 치료
제이 할리, 클로 마데네스가 전략적 치료를 주창했다.[54][55][56][57] 이들은 가족 구성원 간의 기능 장애 증상이 가족 생활 주기의 다양한 단계를 거치면서 가족 계층 구조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치료 기법으로는 지시, 역설적 명령, 포지셔닝, 은유적 과제, 억제 (느리게 진행) 등이 있다.3. 3. 밀라노 가족 치료 / 시스템적 가족 치료
마라 셀비니 팔라졸리, 루이지 보스콜로, 지안프란코 체친, 줄리아나 프라타는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사이버네틱스를 기반으로 가족 구성원 간의 보이지 않는 통제 및 게임 패턴을 깨뜨리는 치료 기술을 확립하려 했다.[54][55][56][57] 이들은 잘못된 가족 신념에 도전하고 가족의 언어적 가정을 수정하는 데 힘썼다. 밀라노 모델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 내 역기능적인 순환 패턴을 파악하고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기법으로는 가설 설정, 순환 질문, 중립성, 역설 등이 있다.3. 4. 정신역동적 가족 치료
정신역동적 가족 치료는 가족 구성원 간의 무의식적인 갈등과 과거 경험이 현재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대상 관계 이론에 기반을 두며, 개인의 초기 애착 관계가 이후 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54][55][56][57]네이선 애커먼은 대표적인 이론가로, 정신분석 전략을 가족 체계에 적용하여 가족 구성원들의 정신 병리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상호 보완성을 개선하고자 했다.[54][55][56][57]
3. 5. 다세대 가족 치료
머레이 보웬, 베티 카터, 필립 게린, 마이클 커, 토마스 포가티, 모니카 맥골드릭, 에드윈 프리드먼, 다니엘 파페로 등이 발전시킨 가족 치료 രീതി이다.[54][55][56][57] 세대 간 가족 치료라고도 하며, 다른 세대 간 가족 치료 학파도 존재한다. 가족 구성원들은 내부 및 외부 분화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이 과정에서 불안, 삼각 관계, 감정적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가족은 핵가족의 감정적 과정, 형제자매의 위치 및 여러 세대에 걸친 전이 패턴의 영향을 받아 분화되지 않은 가족 자아 덩어리를 만들기도 한다.주요 기법으로는 삼각 관계 해체, 비불안적인 존재, 가계도, 코칭 등이 있다.
3. 6. 구조적 가족 치료
살바도르 미누친이 개발한 구조적 가족 치료는 가족 문제의 원인을 가족 구조 내의 부적응적인 경계와 하위 체계에서 찾는다.[54][55][56][57] 가족 간의 상호 작용을 지배하는 규칙과 의식, 전반적인 가족 체계를 살펴봄으로써 문제의 근원을 파악한다. 치료의 주요 기법으로는 '참여', '가족 매핑', '가설 설정', '재연', '재구성', '불균형' 등이 있다. 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가족 구조와 하위 체계 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건강한 가족 기능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3. 7. 해결중심 단기치료
해결중심 단기치료는 문제의 원인보다는 해결책을 찾는 데 집중하며, 가족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치료법이다.[54][55][56][57] 스티브 드 셰이저, 김인수, 윌리엄 오핸론, 미셸 와이너-데이비스, 폴 와츠라윅 등이 대표적인 이론가이다. 이 치료법은 끊임없이 변화가 시작되지만, 과거에 대한 부정적인 해석과 현재 상황에 대한 잘못된 의미 부여로 인해 희망을 잃고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보지 못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한다.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미래 지향: 과거 문제보다 앞으로 어떻게 해결할지에 초점을 맞춘다.
- 초심자의 마음: 선입견 없이 가족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그들의 관점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 기적 질문: "만약 기적이 일어나 문제가 해결된다면, 무엇이 달라질까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가족이 원하는 미래를 구체적으로 상상하도록 돕는다.
- 목표 설정: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달성 가능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 척도: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가요?" 또는 "얼마나 나아졌나요?"와 같이 척도를 사용하여 변화를 측정하고, 작은 성공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3. 8. 이야기 치료
이야기 치료는 마이클 화이트와 데이비드 엡스톤이 발전시킨 치료법이다. 사람들은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지역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정치적 구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야기 치료사는 "문제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 자체가 문제"라는 생각으로 현실의 공동 편집자로 자신을 위치시킴으로써 내담자를 소외시키지 않는다.[54][55][56][57]주요 기법으로는 해체, 외현화, 문제 매핑, 허가 요청 등이 있다.
4. 치료 기법
가족 치료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개선과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상담 기법을 활용한다.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다.
- 구조적 치료: 가족 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하고 재조직하여 건강한 관계를 맺도록 돕는다. 살바도르 미누친이 대표적인 이론가이다.
- 전략적 치료: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패턴을 분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제이 할리가 대표적인 이론가이다.
- 이야기 치료: 문제 중심적인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마이클 화이트가 대표적인 이론가이다.
- 세대간 치료: 여러 세대에 걸쳐 전수되는 가족의 신념과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한다. 머레이 보웬이 대표적인 이론가이며, 가계도를 활용하기도 한다.
- 기타 기법: IPscope 모델 및 중재적 인터뷰, 의사소통 이론, 정신 교육, 정신 치료, 관계 상담, 관계 교육, 시스템 코칭, 시스템 사고, 현실 치료 등이 있다.
가족 치료는 보통 5~20회 정도 진행되며, 여러 가족 구성원이 동시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사는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 패턴을 관찰하고, 무의식이나 유년기의 심리적 외상보다는 관계 패턴에 초점을 맞춰 치료를 진행한다.[35]
이론 모델 | 이론가 | 요약 | 기법 |
---|---|---|---|
아들러 가족 치료 | 알프레드 아들러 | 개인 심리학이라고도 불리며, 인간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한다. 출생 순위와 잘못된 목표 등을 탐구한다. | 정신분석, 전형적인 하루, 재지향, 재교육 |
애착 이론 | 존 볼비, 메리 에인스워스 | 초기 양육자와의 경험이 개인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부모와의 유대감을 평가한다. | 정신분석, 놀이 치료 |
보웬 가족 체계 치료 | 머레이 보웬 외 | 세대 간 가족 치료라고도 불리며, 가족 구성원 간의 분화 수준을 중요하게 여긴다. | 삼각 관계 해체, 비불안적인 존재, 가계도, 코칭 |
인지 행동 가족 치료 | 존 고트만 외 | 가족 내의 부정적인 행동 강화와 긍정적인 행동 소멸을 문제의 원인으로 본다. | 치료 계약, 모델링, 체계적 둔감법, 조형, 차트 작성, 비합리적 신념 검토 |
협력적 언어 시스템 치료 | 해리 굴리시안 외 |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의미가 형성된다고 보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재구성하고 해결한다. | 대화적 대화, 모름, 호기심, 공개, 팀 반성 |
의사소통 접근법 | 버지니아 사티어 외 | 가족 구성원 간의 명시적, 암묵적 메시지 변화를 통해 자존감을 향상시킨다. | 평등, 의사소통 모델링, 가족 생활 연대기, 가족 조각, 은유, 가족 재구성 |
맥락적 치료 | 이반 보스조르메니-나지 | 가족 간의 암묵적 충성과 관계 윤리를 중요하게 다룬다. | 재균형, 가족 협상, 유효성, 자녀의 빚 상환 |
문화 가족 치료 | 빈첸조 디 니콜라 | 체계 가족 치료와 문화 정신 의학을 통합하여 가족 문제를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한다. | 문화 간 작업 도구 활용 |
정서 중심 치료 | 수 존슨 외 | 감정적 경험을 바탕으로 경직된 상호 작용 패턴을 변화시킨다. | 반성, 유효성, 고조, 재구성, 재구조화 |
경험적 가족 치료 | 칼 휘태커 외 | 게슈탈트를 기반으로 하며, 치료사와의 진솔한 만남을 통해 변화를 추구한다. | 싸움, 건설적인 불안, 증상 재정의, 정서적 대결, 공동 치료, 유머 |
가족 모드 비활성화 치료 (FMDT) | 잭 A. 앱셔 | 품행 문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마음 챙김을 통합하여 현재에 집중하도록 돕는다. | 인지 행동 치료, 마음 챙김, 수용전념 치료, 변증법적 행동 치료 등 |
가족 기원 치료 | 제임스 프라모 | 대상 관계 접근법을 세대 간 치료에 적용한다. | 여러 세대의 가족과 함께 작업 |
페미니스트 가족 치료 | 산드라 벰 외 | 성 불평등으로 인한 문제를 가족 갈등의 원인으로 본다. | 해체, 모델링, 평등, 개인적 책임 |
밀라노 체계 가족 치료 | 루이지 보스콜로 외 | 사이버네틱스를 기반으로 가족 내의 통제 패턴을 깨고 잘못된 신념에 도전한다. | 가설 설정, 순환 질문, 중립성, 역설 |
MRI 단기 치료 | 그레고리 베이트슨 외 | 가족의 잘못된 변화 시도를 중단시키기 위해 다양한 이론을 통합한다. | 재구성, 증상 처방, 재명명, 억제 (느리게 진행), 벨락 속임수 |
이야기 치료 | 마이클 화이트 외 | 사람들이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한다고 보며, 문제와 개인을 분리한다. | 해체, 외현화 문제, 매핑, 허가 요청 |
대상 관계 치료 | 해잔 & 샤이버 외 | 어린 시절의 불안정한 애착을 치유하려는 관계를 선택한다고 본다. | 삼각 관계 해체, 공동 치료, 정신분석, 홀딩 환경 |
정신분석 가족 치료 | 네이선 아커먼 | 프로이트 정신분석을 가족 체계에 적용하여 통찰력을 얻고 상호 보완성을 개선한다. | 정신분석, 진정성, 참여, 대결 |
해결 중심 치료 | 김인수 외 | 끊임없는 변화의 시작을 강조하며, 미래 지향적인 해결책을 찾는다. | 미래 지향, 초심자의 마음, 기적 질문, 목표 설정, 척도 |
구조적 가족 치료 | 살바도르 미누친 외 | 가족 구조 내의 부적응 경계와 하위 시스템을 문제의 원인으로 본다. | 참여, 가족 매핑, 가설 설정, 재연, 재구성, 불균형 |
4. 1. 재구성(Reframing)
재구성은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가족 구성원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는 기법이다. 이는 가족 치료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4. 2. 역설적 기법
변화에 대한 저항을 역이용하여 역설적으로 변화를 유도하는 기법이다.4. 3. 가족 조각
가족 조각은 가족 구성원들이 자신의 가족 관계를 신체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가족 역동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기법이다.4. 4. 가계도(Genogram)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가족 치료' 문서의 '가계도(Genogram)'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5. 관련 자격증
한국에서는 가족 치료 관련 전문 자격증으로 한국가족상담협회에서 주관하는 가족상담사, 한국가족치료학회에서 주관하는 가족치료전문가 등이 있다.
6. 관련 학회
-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가족 치료 저널
- 현대 가족 치료
- 가족 과정
- 가족 관계
- 가족 치료 저널
- 결혼 적합성
- 중얼거림: 변혁적 시스템 실천 저널
- 성 및 관계 치료
- 결혼 및 가족 치료 저널
- 가족, 시스템 및 건강
참조
[1]
논문
Brief Strategic Family Therapy: An Intervention to Reduce Adolescent Risk Behavior
2012-06
[2]
서적
Handbook of Family Therapy. Vol. 2.
NY: Brunner/Mazel
1991
[3]
서적
Textbook of Family and Couples Therapy: Clinical Applicatio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3
[4]
간행물
Psychiatry Inside the Family Circle
1962-07-28
[5]
서적
Handbook of Family Therapy. Vol. 2.
NY: Brunner/Mazel
1991
[6]
서적
Family therapy: A systemic integration.
Boston: Allyn & Bacon
2008
[7]
서적
Basic family therapy
Wiley-Blackwell
2007
[8]
서적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Boston: Pearson/Allyn & Bacon
2006
[9]
논문
Contemporary family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10]
서적
Case Studies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Systemic and Cognitive Perspectives.
Guildford Press: New York
1998
[11]
논문
The History of Couple Therapy: A Millennial Review
[12]
뉴스
Couple therapy
2007-03-01
[13]
간행물
Attachment and Family Systems.
2002
[14]
서적
Family Therapy: Exploring the Field's Past, Present and Possible Futures.
Adelaide, South Australia: Dulwich Centre Publications
2001
[15]
서적
Couple, Family and Group Work: First Steps in Interpersonal Intervention.
Maidenhead, Berkshire;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2006
[16]
문서
Multisystemic therapy
2009-10-29
[17]
논문
Family Therapy and Transcultural Psychiatry: An Emerging Synthesis Part I: The Conceptual Basis
1985
[18]
논문
Family Therapy and Transcultural Psychiatry: An Emerging Synthesis: Part II: Portability and Culture Change
1985
[19]
논문
Beyond Babel: Family therapy as cultural translation
1986
[20]
서적
The strange and the familiar: Cross‑cultural encounters among families, therapists, and consultants
New York: Brunner/Mazel
[21]
서적
A Stranger in the Family: Culture, Families, and Therapy
W.W. Norton
[22]
서적
Re-Visioning Family Therapy: Race, Culture, and Gender in Clinical Practice.
Guilford Press: New York
1998
[23]
논문
The Myth of Cross-Cultural Competence
http://serials.cib.u[...]
[24]
서적
Culture and System in Family Therapy.
London; New York: Karnac
2002
[25]
서적
Global Perspectives in Family Therapy: Development, Practice, and Trends.
New York: Brunner-Routledge
2003
[26]
서적
Ethnicity & Family Therapy
Guilford Press
2005
[27]
서적
Recent Developments in Family Therapy: Integrative Models; in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Boston: Pearson/Allyn & Bacon
2006
[28]
서적
Handbook of clinical family therapy.
Hoboken, NJ: John Wiley and Sons
2005
[29]
논문
Measurement,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Paradigm Adherence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s
[30]
논문
Strengthening Domestic Violence Theories: Intersections of Race, Class,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1999
[31]
논문
The cultural context model in clinical supervision.
2008-02
[32]
논문
Unexamined Assumptions and Service Delivery Systems
1993-08-26
[33]
논문
The Cultural Context Model: Therapy for Couples with Domestic Violence
1999
[34]
웹사이트
Ten Most Influential Therapists: The Most Influential Therapists of the Past Quarter-Century
http://www.psychothe[...]
2007-03
[35]
논문
Family therapy
2007-12
[36]
웹사이트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 AFT
http://www.aft.org.u[...]
[37]
웹사이트
Evidence and outcome studies
https://tavistockand[...]
[38]
보고서
Psychotherapy: Three approaches evaluated
[39]
강연
How Therapy Can Be Hazardous to Your Marital Health
1999-07-03
[40]
웹사이트
Therapy Center:Credentials
http://therapists.ps[...]
2008-08-13
[41]
학술지
Bad Couples Therapy and How to Avoid It: Getting past the myth of therapist neutrality
http://www.smartmarr[...]
[42]
학술지
Saying it and meaning it: Forging an ethic for family therapy
1988
[43]
서적
Handbook of Family Therapy. Vol. 2.
https://www.amazon.c[...]
Brunner/Mazel
[44]
서적
Family therapy: Christian perspectives
Baker Book House
[45]
학술지
The Ethics of Relationality: The Moral Views of Therapists Engaged in Marital and Family Therapy
1999-04
[46]
학술지
Ethical issues in family group therapy
[47]
학술지
A Feminist Approach to Family Therapy
[48]
기타
Developing Your Ethical Position in Family Therapy: Special Issues.
http://www.eric.ed.g[...]
[49]
학술지
Values in the Role of the Family Therapist: Self Determination and Justice
[50]
학술지
Individualism, Family Ideology and Family Therapy
[51]
뉴스
Hearts divide over marital therapy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5-06-21
[52]
웹사이트
Code of Ethics
http://www.aamft.org[...]
American Association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2012-07-01
[53]
학술지
When Every Session Mattered
2014-07
[54]
서적
Theory-based treatment planning for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Brooks/Cole/Thomson
[55]
서적
Family therapy: An overview.
Thomson Brooks/Cole
[56]
서적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Guilford Press
[57]
서적
Handbook of family therapy: The science and practice of working with families and couples.
Brunner-Routledge
[58]
웹사이트
Symbolic-Experiential Family Therapy
http://connection.eb[...]
[59]
웹사이트
一般社団法人 日本家族療法学会
https://www.jaft.org[...]
2019-05-03
[60]
웹사이트
News from Couples Therapy Research
https://paarberatung[...]
2024-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